본문 바로가기
기념일

"오전 10시 전국으로 사이렌이 울리는 날"6월 6일 현충일

by 고효길 2024. 2. 13.
반응형

의의/목적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애국 선열과 국군 장병들의 넋을 위로하고, 추모하기 위하여 정한 기념일이다.

TMI 6월 6일인 이유
농경사회에서는 보리가 익고 새롭게 모내기가 시작되는 망종을 가장 좋은 날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1956년 현충일 제정 당시 정부가 6월 6일을 현충일로 정했다고 알려져 있다.

 

역사/유래

현충일 시초

예부터 손이 없다는 청명과 한식에느 각각 사초와 성묘를 하고, 6월 6일 망종에는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전해져 왔다. 또한 고려 현종 5년 6월 6일에는 조정에서 장병의 뼈를 집으로 봉송하여 제사를 지내도록 하였다는 기록도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전사자를 포함해서 제사를 지낼 수 없는 귀신을 모신 제사일에는 망종이 들어 있지 않다.

반응형

한국전쟁 이후 현충일을 지정하다.

1953년 휴전 성립 후 안정을 되찾기 시작한 정부가 한국전쟁 당시 사망한 전사자를 추모하고 기념하려는 의도에서 1956년 4월 19일 대통령령 제1145호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면서 6월 6일 현충기념일로 지정, 공휴일로 하고 기념행사를 거행하도록하였다는 견해도 있다.

TMI 다른나라 현충일
미국에서는 5월 마지막 월요일을 메모리얼 데이로 정해 전몰자를 추도하는 행사를 거행한다. 데커레이션 데이라고도 불리는 전몰자 추도기념일은 1865년 5월 30일 남북전쟁(1861~1865)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추도한데에서 비롯되었다.

그 후 제1차, 제2차 세계대전에서 전사한 사람들도 함께 추도ㅎ나다. 굥휴일로 지정된 이날은 대부분의 주에서는 5월 마지막 월요일이지만 남부 지역의 주에서는 4월 26일, 5월 10일, 6월 3일에 추도식을 거행하는 곳도 있다.

일본에서는 1963년부터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8월 15일을 종전기념일로 정해 행사를 진행하였는데 1982년 정부가 이날을 [전몰자를 추도하고 평화를 기원하는 날]로 정의하였다.
반응형

공식 명칭 개칭과 공휴일로 지정

현충기념일은 통상적으로 현충일로 불리다가 1975년 12월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어 공식적으로 현충일로 개칭되었으며, 1982년 5월 15일 대통령령으로 공휴일로 정하기에 이르렀다.

TMI 기념일 행사
현충일에는 호국영령들을 추모하는 의미에서 각 가정이나 기관에서는 반기를 게양하고 아침 10시에는 전 국민이 사이렌 소리와 함께 1분간 묵념을 올려 순국선열과 전몰장병의 명복을 빌며, 국립현충원, 국립묘지, 전쟁기념관, 독립기념관 등 위령을 모신 곳을 방문하여 헌화한다.

국가보훈처 주관 아래 이루어지는데, 서울에서는 국립현충원에서 대통령 이하 정부요인들과 국민들이 참석하여 순국선열 및 호국영령에 대한 묵념, 헌화, 분향, 헌시 낭송 순으로 진행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