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념일

"대한민국 기원을 둔 유일한 국경일" 7월 17일 제헌절

by 고효길 2024. 4. 5.
반응형

의의/목적

대한민국 헌법이 1948년 7월 17일에 제정, 공포된 것을 축하하고 이를 수호하며 준법정신을 높일 목적으로 제정된 국경일.

TMI 대한민국 기원을 둔 유일한 국경일
삼일절이나 광복절, 개천절 같은 다른 국경일이 일제강점기 시기의 사건이나 독립운동과 직접 이어져 있다면, 제헌절은 식민지 시기가 아니라 대한민국에 기원을 둔 유일한 국경일이라고 할 수 있다.
반응형

역사/유래

제헌절은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 우리 역사에서 최초로 헌법에 의한 통치라는 민주공화정의 이념을 부각시키기 위해 1949년에 국경일로 정해졌다.

TMI 제헌절은 사실 4월 11일이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도 명시되어 있듯이, 대한민국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은 만큼 대한미국 민주공화제 헌법(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공포한 헌법)이 공포된 1919년 4월 11일을 기준삼아 제헌절을 4월 11일로 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런 주장을 하는사람들이 가장 강조하는 것은, 군주제에서 공화제로의 정체의 변화를 최초로 명확하게 표명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헌법 공포가 우리 역사에서 가장 근본적인 법률적 사건이라는 점이다.
반응형

조선왕조 건국일이 7월 17일이어서, 과거 역사와의 연속성을 염두에 두고 1948년 7월 17일에 제헌헌법을 공포했다고 한다. 제헌절의 법률적 근거는 1949년에 제정된 [국경일에 관한 법률]이다.

TMI 대한민국 헌법 역사
1948년 5월 10일 총선거로 구성된 국회(제헌국회)가 헌법기초에 착수하여 같은 해 7월 17일 공포한 제헌헌법 이후

○ 1952년 대통령 직선제 1차 개헌

○ 1954년 이승만 대통령 3선을 위한 소위 [사사오입]파동을 통한 2차 개헌

○ 1960년 4.19혁명 뒤 내각책임제로 전환하는 3차 개헌, 반민주행위자처벌에 관한 부칙조항 삽입을 위한 4차 개헌, 그해 5.16군사쿠데타 발생 후 대통령제로 전환하는 5차 개헌, 박정희 대통령 3선을 위한 목적으로 단행된 6차 개헌

○ 1972년 유신체제 전환을 위한 7차 개헌

○ 1980년 5.18 이후 신군부 집권에 따른 전두환 정권으로의 전환을 위한 8차 개헌

○ 1987년 6월 민주화운동 이후 민주화 결과에 따라 대통령직선제와 5년 단임제를 중심으로 하는 9차 개헌을 통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이 지난 60여 년 동안 총 아홉 차례에 걸쳐 헌법이 개정됐으나, 1960년 4.19혁명 이후의 개정과 1987년 6월의 민주화 운동 이후의 개정을 제외한 나머지 일곱 차례 개헌은 모두 집권자의 권력 강화와 집권 연장을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아서, 우리 사회에는 헌법을 특정 집단이나 정파의 이익을 위해 언제든지 고칠 수 있는 대상으로 가볍게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이 법률에 의해 제헌절과 함께 국경이로 지정된 것은 삼일절, 광복절, 개천절이며, 이 네 개의 국경일을 통칭 4개 국경일이라고 불렀으며, 2006년부터는 한글날도 국경일에 포함된다.

반응형
TMI 현재 헌법
현재의 헌법은 지난 1987년 10월 27일 국민투표에 의하여 제9차로 개정, 공포된 헌법으로 전문을 비롯하여 총강, 국민의 권리와 의무, 국회, 정부, 법원, 헌법재판소, 선거관리, 지방자치, 경제, 헌법개정, 이렇게 10장으로 나뉜 본문 130조와 부칙 6조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까지 국경일들은 모두 공휴일로 되어 있으나, 2008년년부터 제헌절이 국격일의 지위는 유지하지만 공휴일에서 제외된다.

TMI 기념일 행사
이 날은 자유민주주의를 기본으로 한 헌법의 제정(7월 12일) 및 공포(7월 17일)를 온 국민이 경축하고,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며 헌법수호를 다짐하는 기념행사를 거행하고, 온 국민은 가정에 국기를 게양하여 이 날의 뜻을 높이고 있다.

중앙기념행사는 생존하는 제헌국회의원과 3부요인을 비롯한 각계 대표가 모여 의식을 거행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