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념일

"호스피스의 어원은 사실 라틴어다?!" 세계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날

by 고효길 2024. 5. 15.
반응형

의의/목적

세계 호스피스 완화의료 동맹이 호스피스/완화의료를 기념하고 지지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 지정한 날로, 매년 10월 둘째 주 토요일이다.

TMI
호스피스 : 임종이 임박한 환자들이 편안하고도 인간답게 죽음을 맞을 수 있도록 위안과 안락을 베푸는 봉사 활동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완화의료 : 임종이 임박한 환자는 물론 장기적 치료가 필요하거나 투병 과정에서 큰 고통을 겪는 모든 환자와 가족에게 행해지는 신체/정신적 의료 행위를 말한다. 

즉, 완화의료는 임종이 임박한 시점 이전이라도 투병과정에서 발생하는 통증 및 증상 완화가 필요한 모든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의료의 한 형태며, 죽음을 앞둔 환자가 편안히 임종을 맞도록 도와주는 호스피스보다 넓은 의미다.
반응형

역사/유래

한국 호스피스의 날

우리나라도 2013년부터 매년 기념식릉 개최하고 있으며, 특히 2017년 8월부터 시행된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따라 10월 둘째 주 토요일을 [호스피스의 날]로 지정하여, 그 취지에 부합하는 기념식 및 권역별 행사 등을 열고 있다.

TMI
세계 호스피스/완화의료 동맹
전 세계적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을 늘이기 위한 비전을 공유하며, 환자와 그 가족에게 의료적/사회적/심리적 영적인 필요를 이해시키기 위해 조직/운영되고 있는 단체다.

전 세계 70여 개국  정부와 단체는 매년 세계 호스피스/완화치료의 날 행사에 참여하고 있으며, 10월 둘째 주 전후로 호스피스/완화의료 주간을 정하여 관련 캠페인 및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호스피스/완화의료 심볼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심볼의 의미

사랑과 협동을 모티브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호스피스 대상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함께 노력하는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초록은 '안정, 위로, 치료'를, 노랑은 '사랑, 따뜻함, 친절'을 상징한다.)

 

호스피스의 어원

라틴어의 호스피탈리스와 호스피티움에서 기원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 호스피탈리스는 [주인]을 뜻하는 호스페스와 [치료하는 병원]을 의미하는 호스피탈의 복합어로서, 주인과 손님 사이의 따뜻한 마음과 그러한 마음을 표현하는 [장소]의 뜻을 지닌 [호스피티움]이라는 어원에서 변천되어 왔다.

반응형

호스피스의 제도 유래

호스피스 제도는 중세기에 예루살렘으로 가는 성지 순례자나 여행자가 쉬어가던 휴식처라는 의미에서 유래됐으며, 이후 아픈 사람과 죽어가는 사람들을 위한 숙박소를 제공해 주고 필요한 간호를 베풀어 주면서 시작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호스피스는 체계를 갖추며 발전하기 시작하였는데, 1967년 영국 런던에서 시실리 손더스에 의해 성 크리스토퍼 호스피스가 개방된 것이 편대 호스피스 운동의 체계적 모태가 되었다.

 

1968년 미국에서는 호스피스의 가정간호가 시작되었으며 1969년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가 [인간의 죽음]을 출판함으로써 죽음의 개념과 말기환자의 돌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미국에서는 1981년 호스피스 법안이 통과되었다.

TMI
한국은 1965년 3월 강릉 갈바리 의원(마리아의 작은 자매회)에서 임종자 간호를 시작한 것이 호스피스의 시초이며, 1991년에는 한국호스피스협회가 창립되었다.
호스피스의 형태
독립형 가정적 분위기의 독립건물으 지어 호스피스 활동을 하는 것
병동형 병원 내 이루 병동 및 병실을 이용하는 것
가정형 환자 가정에 전문 봉사자와 의료진이 방문해 돌보는 것
산재형 병동이 따로 설치되어 있지 않아 환자들이 다른 환자와 섞여 입원해 있으면서 봉사를 받는 형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