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학사 2단계

독학사 2단계 심리학과 성격심리학 [성격의 이론과 연구법]

by 고효길 2024. 6. 12.
반응형

성격의 개념

학자별 개념

  • 올포트(Allport)
    • 심리/신체적 체계인 개인 내 역동적 조직
TMI 고든 올포트 (Gordon Allport)
특질 이론 (Trait Theory): 올포트는 인간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특질(trait)이라는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그는 특질을 개인의 행동과 생각에 일관성을 부여하는 지속적인 성향으로 정의했습니다. 그는 특질을 세 가지 범주로 나눴습니다: 주요 특질 (Cardinal Traits), 중앙 특질 (Central Traits), 이차 특질 (Secondary Traits).

개인적 특질 (Personal Dispositions): 올포트는 개인마다 독특한 특질이 있다고 보았고, 이를 개인적 특질이라고 불렀습니다.
  • 설리반(Sullivan)
    • 비교적 지속적인 심리적 특성
TMI 해리 스택 설리반 (Harry Stack Sullivan)
대인 관계 이론 (Interpersonal Theory): 설리반은 인간의 성격이 대인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인간의 경험이 대인 관계에 의해 규정되며, 정신 질환 역시 대인 관계에서 기인한다고 보았습니다.

자아 시스템 (Self-System): 개인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지적 전략들을 말합니다.
  • 프롬(Fromm)
    • 선천적이자 후천적인 정신적 특질의 총체
TMI 에리히 프롬 (Erich Fromm)
인본주의 정신분석 (Humanistic Psychoanalysis): 프롬은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기 위해 경제적, 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자유와 소속의 욕구 (Needs for Freedom and Belonging): 프롬은 사람들이 자유를 원하면서도 소속감을 느끼고자 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는 그의 저서 "자유로부터의 도피 (Escape from Freedom)"에서 다뤄집니다.
  • 미첼(Mischel)
    • 사고와 감정을 포함하는 구별된 행동패턴
TMI 월터 미셸 (Walter Mischel)
1. 인지-정서적 성격 시스템 (Cognitive-Affective Personality System, CAPS)
부호화 전략 (Encoding Strategies): 외부 자극 해석 방법
기대와 신념 (Expectancies and Beliefs): 결과 예측과 신념 형성
정서 (Affects): 감정과 정서적 반응
목표와 가치 (Goals and Values):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와 가치
인지 및 행동 역량 (Cognitive and Behavioral Competencies): 문제 해결 능력 및 행동 전략

2. 지연 만족 (Delayed Gratification)

마시멜로 실험: 지연된 보상을 통해 자기 통제 연구
자기 통제: 학업 성취, 사회적 능력 등에서 긍정적 영향

3. 상황 변별성 (Situational Specificity)

상황의 중요성: 성격은 상황에 따라 달라짐
행동의 변동성: 상황별 행동의 일관성과 변동성
  • 매디(Maddi)
    • 사람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결정하는 이련의 안정된 경향이자 특성
TMI 매디 (Maddi)
강인성 이론 (Hardiness Theory): 매디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개인이 얼마나 잘 대처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강인성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도전(Challenge), 헌신(Commitment), 통제(Control)로 구성됩니다.
  • 릭맨(Ryckman)
    • 개인이 소유한 일련의 역동적이고 조직화되 특성
TMI 리처드 릭맨 (Richard Lazarus)
스트레스와 대처 (Stress and Coping): 릭맨은 스트레스의 인지적 평가와 대처 전략에 대한 연구로 유명합니다. 그는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연구했습니다.

인지적 평가 (Cognitive Appraisal): 스트레스 상황에서 개인이 그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는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습니다.
  • 카버와 샤이어(Carver & Scheier)
    • 심리/신체적 체계인 인간 내부의 역동적 조직
TMI 캐롤 카버와 마이클 샤이어 (Carver and Scheier)
자기 조절 이론 (Self-Regulation Theory): 카버와 샤이어는 목표 설정과 성취에 있어서 자기 조절 메커니즘을 연구했습니다. 이들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행동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했습니다.
  • 버거(Burger)
    • 일관된 행동패턴 및 개인 내부에서 일어나는 정신의 내적 과정
TMI 조지프 버거 (Joseph Berger)
기대 상태 이론 (Expectation States Theory): 버거는 그룹 내에서의 사회적 불평등을 설명하기 위해 기대 상태 이론을 제안했습니다. 그는 개인의 기대가 사회적 상호작용과 지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습니다.
반응형

일반적 정의

  • 환경에 대한 개인의 독특한 적응을 결정하는 개인 내의 신체적/정신적 체계들의 역동적 조직

주요 가정

  • 모든 행동은 적응적
  • 성격은 학습된 행동패턴
  • 문화는 성격패턴에 영향을 줌
  • 각각의 성격은 고유하고 독특한 조직을 가짐
  • 성격은 반응의 선택을 결정함
  • 패턴의 이해는 행동을 예언하도록 해 줌
  • 성격패턴의 이해는 어떤 행동의 구체적 기능을 이해하도록 해 줌

유사개념 : 성질 및 기질

 

성격의 특성과 형성

특징적 요소

  • 독특성
  • 공통성
  • 일관성(안정성)
  • 역동성

일반적 특징

  • 인간의 행동과 관련
  • 개인 간 차이 있음
  • 각 상황에서 일관성 있게 나타남
  • 전체적인 맥락에서 보다 잘 이해됨

성격의 형성 : 유전 vs 환경

 

성격의 연구 흐름

역사

  • 고대
    • 생각과 행동의 개인차가 각자의 출생 당시 서로 다른 자연현상(예 - 별자리, 계절 등)의 영향에서 비롯된다고 여김
    •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의 체액론
      • 혈액(Blood), 흑담즙(Black Bile), 황당즘(Yellow Bile), 점액(Phlegm)
    • 갈렌(Galen)의 네 가지 기질론
      • 다혈질(Sanguine), 우울질(Melancholic), 담즙질(Choleric), 점액질(Phlegmatic)
TMI 히포크라테스의 체액론 (Humorism)
히포크라테스는 인간의 건강과 성격이 네 가지 체액(유머, humors)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믿었습니다. 각각의 체액은 특정한 성격 특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혈액 (Blood)
: 낙천적이고 활발한 성격 (Sanguine)
점액 (Phlegm): 차분하고 침착한 성격 (Phlegmatic)
황담즙 (Yellow Bile): 다혈질이고 쉽게 화를 내는 성격 (Choleric)
흑담즙 (Black Bile): 우울하고 신중한 성격 (Melancholic)

히포크라테스는 체액의 균형이 건강을 유지하며, 체액의 불균형이 질병을 초래한다고 믿었습니다.
TMI 갈렌의 네 가지 기질론 (Galen's Four Temperaments)
갈렌은 히포크라테스의 체액론을 바탕으로 네 가지 기질을 제안했습니다. 각 기질은 특정 체액이 우세할 때 나타나는 성격 특성을 설명합니다.

다혈질 (Sanguine): 혈액이 우세. 외향적이고 낙천적이며 사교적인 성격.
담즙질 (Choleric): 황담즙이 우세. 에너지가 넘치고 열정적이며 쉽게 화를 내는 성격.
우울질 (Melancholic): 흑담즙이 우세. 신중하고 분석적이며 우울한 성격.
점액질 (Phlegmatic): 점액이 우세. 차분하고 침착하며 신뢰할 수 있는 성격.

갈렌은 이 네 가지 기질이 사람의 성격과 행동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습니다.
  • 중세
    • 기본적으로 원죄가 있는 약한 존재
  • 근대
    • 로크(Locke), 볼테르(Voltaire) 등 > 백지와 같은 상태(Tabula Rasa)
TMI 백지설 (Tabula Rasa)
백지설 (Tabula Rasa)는 철학자 존 로크(John Locke)가 제안한 개념으로, 인간의 마음은 출생 시 "백지" 상태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의 주요 요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생 시 백지 상태: 인간은 태어날 때 어떤 지식도, 관념도 없이 백지와 같은 상태로 태어납니다.
경험을 통한 지식 형성: 모든 지식과 관념은 경험과 감각을 통해서 형성됩니다.
환경의 중요성: 교육, 사회적 상호작용, 환경 등이 인간의 성격과 지식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백지설은 인간의 행동과 성격이 유전보다는 후천적인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는 입장을 강조합니다.

현대

  • 크래츠머(Kretschmer)
    • 신체유형에 대한 관찰을 토대로 성격 및 정신장애를 분류
TMI 크레치머의 체형-기질 이론 (Kretschmer's Constitutional Typology)
독일의 정신과 의사 에른스트 크레치머(Ernst Kretschmer)는 사람의 체형과 기질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이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만형 (Pyknic):
체형
: 짧고 둥글며 살이 찐 체형.
기질: 사교적이고 낙천적이며 감정 표현이 풍부함. 주로 조울증과 연관됨.

정신병적 (Leptosomic) 또는 쇠약형 (Asthenic):
체형
: 마르고 길쭉하며 가늘고 연약한 체형.
기질: 내향적이고 예민하며 걱정이 많음. 주로 정신분열증과 연관됨.

운동형 (Athletic):
체형
: 근육질이고 탄탄한 체형.
기질: 차분하고 공격적이며 에너지가 넘침. 주로 간질과 연관됨.

크레치머의 이론은 체형이 인간의 성격과 정신질환의 경향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 셀든(Sheldon)
    • 내배엽형(Endomorphic Type), 중배엽형(Mesomorphic Type), 외배엽형(Ectomorphic Type)으로 성격을 구분
TMI 셀던의 체형-기질 이론 (Sheldon's Somatotype Theory)
미국의 심리학자 윌리엄 허버트 셀던 (William Herbert Sheldon)은 체형과 성격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을 제안했습니다. 그의 이론은 세 가지 주요 체형과 관련된 성격 특성을 설명합니다.

내배엽형 (Endomorph):
체형: 둥글고 부드러우며 살이 찐 체형.
기질: 사교적이고 편안하며 즐거움을 추구하는 성격. 음식과 안락함을 좋아함.

중배엽형 (Mesomorph):
체형: 근육질이고 탄탄하며 힘이 센 체형.
기질: 활동적이고 용감하며 자신감이 넘치는 성격. 운동과 신체 활동을 좋아함.

외배엽형 (Ectomorph):
체형: 마르고 가늘며 연약한 체형.
기질: 내향적이고 예민하며 생각이 많고 창의적인 성격. 혼자 있는 시간을 좋아함.

셀던의 이론은 체형과 성격 간의 연관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사람들의 행동과 성격 특성을 예측하려는 시도를 했습니다.
  • 융(Jung)
    • 단어연상검사(Word Association Test)를 개발하여 사용하면서 성격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도
TMI 칼 융 (Carl Jung)
칼 융은 심리학자이자 정신분석학자로, 그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집단 무의식 (Collective Unconscious): 인류 전체가 공유하는 무의식의 층으로, 보편적인 심리적 경험의 저장소.고대 신화, 꿈, 종교적 상징 등을 통해 나타나는 원형 (Archetypes)을 포함함.

원형 (Archetypes): 집단 무의식 내에 존재하는 보편적이고 상징적인 이미지나 패턴.주요 원형에는 자아 (Self), 그림자 (Shadow), 아니마와 아니무스 (Anima and Animus), 현명한 노인 (Wise Old Man) 등이 있음.

성격 유형론 (Personality Typology):인간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심리적 기능 (Psychological Functions)과 태도 (Attitudes)의 개념을 도입.
네 가지 심리적 기능: 사고 (Thinking), 감정 (Feeling), 감각 (Sensation), 직관 (Intuition).
두 가지 태도: **외향형 (Extraversion)**과 내향형 (Introversion).

자기 실현 (Individuation):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완전한 자아를 이루는 과정.이는 자아와 무의식의 통합을 통해 달성됨.

융의 이론은 인간의 심리를 깊이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제공했으며, 특히 성격 유형론은 오늘날 다양한 심리 평가 도구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성격심리학의 목적 및 관점

목적

  •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
  • 인간의 부적응적인 행동을 개선하며, 더 나아가 개인의 행복을 증진
  • 성격과 관련된 후속 연구를 촉진

5가지 관점

  • 정신역동적 관점
  • 성향적 관점(특징이론적 관점)
  • 인본주의적 관점(현상학적 관점)
  • 행동 및 사회학습적 관점
  • 인지주의적 관점

최근 추세

  • 성격 분석단위의 다양화
  • 성격과 상황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 인지적 요인의 중요성 부각
  • 성격에 대한 생물학적 관점으로의 활발한 접근
  • 성격장애 및 성격강점에 대한 관심 고조

심리학의 주요 학파와 학자

학파 주요 내용 학자
구성주의 개인의 의식 경험의 세부 구성요소를 밝혀내는 데 초첨을 둠 - 분트(Wundt)
- 티츠너(Tichener)
기능주의 인간 정신의 지속적인 변화를 강조하면서 일상생활 속에서 정신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연구 - 제임스(James)
- 듀이(Dewey)
행동주의 심리학이 과학의 한 분야가 되기 위해서는 관찰 및 측정 가능한 외현적 행동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봄 - 파블로프(Pavlov)
- 스키너(Skinner)
- 헐(Hull)
- 왓슨(Watson)
정신분석 성격을 서로 경쟁하고 갈등하는 내적 힘들의 집합으로 봄. 특히 인간행동의 여러 측면들이 그의 성격 안에 내재된 무의식적 힘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함 - 프로이트(Freud)
- 머레이(Murray)
신정신분석 인간행동의 동기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무의식이 아닌 의식을, 성적인 힘보다는 사회적/문화적 힘을 강조함. 특히 성격에서 자아와 자아의 발달, 사회적 관계를 중시함 - 아들러(Adler)
- 에릭슨(Erikson)
- 설리반(Sullivan)
- 호나이(Horney)
- 프롬(Fromm)
게슈탈트
(형태주의)
심리학
인간을 정신, 행동 등으로 구분하여 이해하는 것보다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것을 강조 - 베르타이머(Wertheimer)
- 쾰러(Kohler)
- 코프카(Koffka)
인본주의
심리학
인간은 과거에 의한 결정적인 존재가 아닌 자유의지를 가지고 자기실현을 향해 나아가는 존재 - 로저스(Rogers)
- 매슬로우(Maslow)
- 프랭클(Frankl)
- 메이(May)
인지심리학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사고, 기억, 의사결정 등 인지 과정을 연구할 것을 강조 - 나이저(Neisser)
- 털빙(Tulving)

성격이론의 쟁점

인간 vs 상황에 대한 쟁점

  • 일반적인 관점 : 인간 자체에 대하여 초점을 둔 성격이론
  • 미첼(Mischel)의 5가지 사람변인
구성능력 개인의 인지적/행동적 능력과 연관된 것으로서, 적절한 조건하에서 다양한 행동을 생성할 수 있는 지적/사회적/신체적 능력
부호화 전략 개인이 사건이나 실체를 지각하고 조직화하며 이해하는 방법, 그리고 상황을 범주화하는 방법과 연관됨
기대 특별한 조건하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에 대한 개인의 구체적인 기대를 의미함
목표와 주관적 가치 기대가 유사하더락도 개인마다 서로 다른 목표나 주관적 가치를 가지므로, 동일한 결과에 대해 서로 다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서로 다른 행동으로 보일 수 있음
자기조절 체계 및 계획 각각의 개인이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기 위해 채택하는 서로 다른 규칙 혹은 규준

인간관에 대한 쟁점

  • 인간관에 대한 준거 틀 : 젤리와 지글러, 매디, 슐츠와 슐츠
  • 인간관에 관한 3가지 모델 : 갈등 모델, 충족 모델, 일관성 모델

성격평가

의의

  • 개인이 어떤 성격의 소유자이고 어떤 내면적 감정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사고방식과 행동방식을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절차 및 방법

일반적인 절차

  • 제1단계 : 평가목적의 명료화
  • 제2단계 : 자료수집의 계획
  • 제3단계 : 자료수집의 실시 및 채점
  • 제4단계 : 자료의 해석 및 통합
  • 제5단계 : 평가결과의 보고 및 전달

기법

  • 면담법(면접법)
    • 구조화된 면담(표준화 면접), 비구조화된 면담(비표준화 면점), 반구조화된 면담(반표준화 면접)

TMI

더보기

면접법 (Interview Method)

면접법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인터뷰어가 인터뷰이와 대면하여 질문하고 답변을 듣는 연구 방법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면 상호작용: 인터뷰어와 인터뷰이가 직접 만나거나 화상/전화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합니다.
  2. 심층적 정보 수집: 질문을 통해 깊이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답변의 맥락과 세부 사항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유연성: 질문의 순서나 내용이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인터뷰 중 추가 질문이 가능합니다.
  4. 비언어적 단서: 인터뷰이는 말뿐만 아니라 표정, 몸짓 등 비언어적 단서도 제공할 수 있어 보다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종류

  1. 구조화된 면접 (Structured Interview):
    • 미리 정해진 질문 목록과 순서에 따라 진행됩니다.
    • 일관된 형식을 유지하여 비교 가능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2. 반구조화된 면접 (Semi-Structured Interview):
    • 기본적인 질문 틀이 있지만, 상황에 따라 질문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유연성을 제공하면서도 일정한 틀을 유지합니다.
  3. 비구조화된 면접 (Unstructured Interview):
    • 사전 질문 없이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정보를 수집합니다.
    • 탐구적이고 심층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비교 가능성은 낮습니다.

장점

  • 심층적이고 질적인 데이터 수집 가능
  • 비언어적 단서와 맥락 이해
  • 유연한 접근 방식

단점

  • 시간과 비용 소모가 큼
  • 인터뷰어의 편견이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
  • 응답자의 정직성과 정확성 문제

면접법은 특히 심층적인 이해가 필요한 연구나 개인의 경험과 의견을 탐구하는 데 유용한 방법입니다.

  • 관찰법(행동평가법)
    • 자연관찰법(직접관찰법), 유사관찰법(통제된 관찰법 또는 실험적 관찰법), 참여관찰법, 자기관찰법(자기-감찰 또는 자기-탐지)

TMI

더보기

관찰법 (Observation Method)

관찰법은 연구자가 대상의 행동, 사건, 또는 현상을 직접 관찰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연구 방법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직접 관찰: 연구자가 현장에 직접 참여하거나 특정 상황을 관찰하여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2. 객관적 데이터 수집: 대상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관찰하여 실시간으로 객관적인 정보를 얻습니다.
  3. 비언어적 정보: 언어적 정보뿐만 아니라 행동, 표정, 몸짓 등 비언어적 단서도 수집할 수 있습니다.

종류

  1. 참여 관찰 (Participant Observation):
    • 연구자가 관찰 대상 집단에 직접 참여하여 관찰을 수행합니다.
    • 대상의 관점에서 경험을 이해하고 심층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2. 비참여 관찰 (Non-Participant Observation):
    • 연구자가 대상 집단에 참여하지 않고 외부에서 관찰을 수행합니다.
    • 객관적인 관찰이 가능하지만, 심층적인 이해는 제한될 수 있습니다.
  3. 자연적 관찰 (Naturalistic Observation):
    • 대상이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행동하는 모습을 관찰합니다.
    • 관찰 대상이 인위적인 환경에 있지 않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러운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4. 통제된 관찰 (Controlled Observation):
    • 실험실과 같은 통제된 환경에서 특정 조건 하에 관찰을 수행합니다.
    • 변수 통제가 가능하여 명확한 원인과 결과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장점

  • 자연스러운 행동과 현상을 파악할 수 있음
  • 비언어적 단서와 맥락 이해 가능
  •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 가능

단점

  • 관찰자의 편견이나 주관 개입 가능성
  • 시간과 비용 소모가 큼
  • 관찰 대상이 인식할 경우 행동이 달라질 수 있음

관찰법은 특히 대상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이해하고자 할 때 유용하며, 심리학, 사회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심리검사법
    • 자기보고식 검사(Self-reporting Tests), 투사적 검사(Projective Tests)

TMI

더보기

심리검사법 (Psychological Testing)

심리검사법은 개인의 심리적 특성, 능력, 성격 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 표준화된 도구와 절차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표준화: 검사 도구와 절차가 일관되게 적용되며,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시행됩니다.
  2. 신뢰도: 검사 결과의 일관성과 재현성이 높습니다.
  3. 타당도: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정확하게 측정합니다.

종류

  1. 지능검사 (Intelligence Tests):
    • 개인의 지적 능력을 평가합니다.
    • 예: 웩슬러 지능검사 (WAIS), 스탠포드-비네 지능검사 (Stanford-Binet)
  2. 성격검사 (Personality Tests):
    • 개인의 성격 특성을 평가합니다.
    • 예: MMPI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3. 성취도검사 (Achievement Tests):
    • 특정 분야에서의 지식과 능력을 평가합니다.
    • 예: 학업성취도검사
  4. 적성검사 (Aptitude Tests):
    • 특정 분야에서의 잠재적 능력과 재능을 평가합니다.
    • 예: SAT, ACT
  5. 투사검사 (Projective Tests):
    • 애매한 자극에 대한 반응을 통해 개인의 내면 세계와 무의식을 평가합니다.
    • 예: 로르샤흐 잉크블롯 검사 (Rorschach Inkblot Test), 주제 통각 검사 (Thematic Apperception Test, TAT)

장점

  •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데이터 수집 가능
  • 다양한 심리적 특성과 능력을 평가할 수 있음
  •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에 유용

단점

  • 검사 불안이나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문화적 편향 가능성
  • 일부 검사는 해석과 적용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음

심리검사법은 임상 심리학, 교육, 직업 상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 심리생리적 측정법
    • 뇌파, 심작박동, 혈압, 근육긴장도, 피부전기저항반응 등 생리적 생태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심리적 상태나 특성을 평가

TMI

더보기

심리생리적 측정법 (Psychophysiological Measurement)

심리생리적 측정법은 신체적 반응을 측정하여 심리적 상태와 과정을 이해하는 연구 방법입니다. 이는 신체와 마음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신체 반응 측정: 심리적 상태가 신체적 반응으로 나타난다는 전제하에, 다양한 생리적 지표를 측정합니다.
  2. 객관적 데이터: 주관적 보고가 아닌 신체의 객관적 반응을 기반으로 합니다.
  3. 다양한 지표 사용: 다양한 신체적 지표를 통해 심리적 상태를 평가합니다.

종류

  1. 심박수 (Heart Rate):
    • 심장이 뛰는 속도를 측정하여 스트레스, 흥분, 불안 등의 상태를 평가합니다.
    • 예: ECG (Electrocardiogram)
  2. 피부전도도 (Galvanic Skin Response, GSR):
    • 피부의 전기 전도성을 측정하여 감정적 각성 수준을 평가합니다.
    • 피부의 땀 분비량 변화가 감정적 반응을 나타냅니다.
  3. 뇌파 (Electroencephalography, EEG):
    • 두피에 전극을 부착하여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합니다.
    • 뇌의 특정 상태 (예: 각성, 수면, 스트레스)를 평가합니다.
  4. 근전도 (Electromyography, EMG):
    •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근긴장도와 스트레스 수준을 평가합니다.
  5. 호르몬 분석:
    • 혈액, 타액, 소변 등의 샘플을 통해 코르티솔, 아드레날린 등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 수치를 측정합니다.
  6. 눈 깜빡임 반응 (Eye Blink Response):
    • 자극에 대한 눈 깜빡임 반사를 측정하여 놀람 반응과 감정적 각성을 평가합니다.
  7. 기타 생리적 지표:
    • 혈압, 호흡률, 피부 온도 등 다양한 신체 반응을 통해 심리적 상태를 평가합니다.

장점

  • 주관적 편견 없이 객관적 데이터 수집 가능
  • 실시간으로 심리적 상태 변화 관찰 가능
  • 다양한 심리적 상태와 생리적 반응 간의 상관관계 탐구 가능

단점

  • 고가의 장비와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
  • 실험 환경이 자연스러운 행동을 제한할 수 있음
  • 생리적 반응이 심리적 상태 외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심리생리적 측정법은 신경과학, 임상 심리학, 건강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심리적 상태와 생리적 반응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성격연구의 방법

  • 사례연구
  • 상관연구
  • 실험연구

사례연구, 상관연구, 실험연구의 강점 및 제한점

구분 강점 제한점
사례연구 실험의 인위성 배제

인간-환경 관계의 복잡성 연구

개인에 대한 심층적 연구
비체계적인 관찰

자료에 대한 주관적 해석

변인들 간의 복잡한 관계를 규명하지 못함
상관연구 여러 가지 변인들에 대한 연구

많은 변인들 간의 관계 연구

다량의 자료 수집
원인보다는 관계 규명

자기보고식 질문의 신뢰도 및 타당도 문제

개인에 대한 심층적 연구의 어려움
실험연구 특정 변인의 인위적인 조작

자료의 객관적 기록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 규명
실험실에서 연구될 수 없는 현상은 배제

결과의 일반화를 제약하는 인위적인 틀

실험자의 기대효과 야기

연구방법론

평가도구의 준거

  • 표준화(Standardization)
    • 검사 시행을 위한 절차나 조건상의 일관성 혹은 동일성을 갖추고 있는 것
  • 신뢰도(Reliability)
    • 평가도구나 시가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반응의 일관서을 나타내 보이는가에 관한 것
  • 타당도(Validity)
    • 평가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충실히 재고 있는가에 관한 것
  • 객관도(Objectivity)
    • 평가자 혹은 채점자 간의 채점이 어느 정도 신뢰할만하고 일관성 있는가에 대한 것
  • 실용도(Usability)
    • 평가도구가 얼마나 적은 시간과 비용, 노력을 투입하여 얼마나 많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

측정과 척도

  • 측정 : 일정한 규칙에 따라 사물 또는 사건에 대해 숫자를 부여하는 것
  • 척도 : 일종의 측정도구로서 일정한 규칙에 따라 측정대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일련의 체계화된 기호 또는 숫자를 의미
    • 명명척도 또는 명목척도(Nominal Scale)
    • 서열척도(Ordinal Scale)
    • 등간척도(Interval Scale)
    • 비율척도(Ratio Scale)

TMI 여러 종류의 척도 설명

더보기

명목척도 (Nominal Scale)

명목척도는 데이터를 분류하거나 이름을 붙이는 데 사용되는 가장 단순한 측정 척도입니다. 명목척도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범주화: 데이터가 상호 배타적인 범주로 나뉨.
  2. 순서 없음: 범주 간의 순서나 크기 차이가 없음.
  3. 식별 목적: 데이터가 서로 다른 범주에 속하는지만 구분.

예시:

  • 성별: 남성, 여성
  • 혈액형: A형, B형, AB형, O형
  • 색상: 빨강, 파랑, 초록

명목척도는 주로 데이터를 분류하거나 그룹화할 때 사용되며, 수학적 연산이 불가능합니다. 각 범주는 단순히 다른 범주와 다르다는 것만 나타냅니다.

 

서열척도 (Ordinal Scale)

서열척도는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측정 척도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순서화: 데이터가 순서대로 배열됨.
  2. 크기 차이 불명확: 각 항목 간의 간격이 불규칙하며, 간격의 크기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음.
  3. 순위 정보 제공: 데이터 간의 상대적인 순위를 알 수 있음.

예시:

  • 등급: 1등, 2등, 3등
  • 만족도 수준: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 학력 수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서열척도는 데이터의 순서를 알 수 있지만, 항목 간의 차이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평균이나 표준 편차와 같은 연산에는 부적합합니다. 주로 순위나 우선순위를 매길 때 사용됩니다.

 

등간척도 (Interval Scale)

등간척도는 데이터 간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 각 값 사이의 간격이 동일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동일한 간격: 각 값 사이의 차이가 일정함.
  2. 순서와 크기 차이: 데이터의 순서와 크기 차이를 모두 알 수 있음.
  3. 절대 영점 없음: 0이 절대적 기준이 아니며, 단순히 하나의 값일 뿐임.

예시:

  • 섭씨 온도: 20°C, 30°C, 40°C (20°C와 30°C 사이의 차이와 30°C와 40°C 사이의 차이가 동일함)
  • IQ 점수: 100, 110, 120 (각 점수 간의 차이가 일정함)
  • 연도: 2000년, 2010년, 2020년 (각 연도 간의 간격이 동일함)

등간척도는 데이터 간의 차이를 측정하고 비교할 수 있어 평균이나 표준 편차와 같은 통계적 계산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절대 영점이 없기 때문에 비율 계산은 불가능합니다.

 

비율척도 (Ratio Scale)

비율척도는 데이터의 절대적 크기와 비율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 가장 높은 수준의 측정 척도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절대 영점: 0이 절대적 기준이며, 0이 존재한다는 의미는 해당 속성이 전혀 없음을 의미합니다.
  2. 동일한 간격: 각 값 사이의 차이가 일정합니다.
  3. 비율 계산 가능: 값들 간의 비율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예시:

  • 길이: 0cm, 10cm, 20cm (0이 절대적 기준이며, 20cm는 10cm의 두 배)
  • 무게: 0kg, 50kg, 100kg (0이 절대적 기준이며, 100kg은 50kg의 두 배)
  • 시간: 0초, 30초, 60초 (0이 절대적 기준이며, 60초는 30초의 두 배)

비율척도는 절대 영점을 가지고 있어 데이터 간의 비율을 비교할 수 있으며, 평균, 표준 편차, 비율 등 다양한 통계적 계산이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