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념일

"식목일은 사실 순종이 만든 기념일이다?!" 봄 기념일로 알아가는 상식[4월 5일 식목일]

by 고효길 2024. 1. 6.
반응형

기념일 내용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날짜

매년 4월 5일이다.

TMI 4월 5일인 이유는?
식목일을 4월 5일로 정한 것은 24절기의 하나인 청명 무렵이 나무 심기에 적합하다는 이유도 있지만, 신라가 당나라의 세력을 한반도에서 몰아내고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날이자, 조선 성종이 세자와 문무백관들과 함께 동대문 밖 선농단에서 직접 밭을 일군날이 바로 이날이기 때문이다.

의의/목적

국민 식수에 의한 애림 사상을 높이고 산지의 자원화를 위해 제정된 국가기념일이다

 

역사/유래

식목일 시초

1910년 4월 5일 순종이 친경제를 거행할 때, 손수 밭을 갈았을 뿐만 아니라 직접 나무를 심었던 데에 있다.

 

일제강점기 때 날짜가 변경되다.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총독부가 날짜를 4월 3일로 옮겨 식목일 행사를 거행하였다.

TMI 날짜를 변경한 이유는?
그 이유는 소화천황의 생일이 4월 5일이었으므로 이와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였던 것 같다. 현재 일본에서는 4월 5일을 녹색의 날이라 하여 공휴일로 지내고 있다.

 

해방 이후 다시 원상 복귀와 공휴일 지정

해방 이후 1946년에는 미 군정청에 의해 식목일이 다시 4월 5일로 환원, 제정되었으며, 1949년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의해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기념일이 제외되다.

1960년에는 3월 15일을 [사방의 날]로 대체 지정하면서 식목일을 국가기념일 및 공휴일에서 제외했다.

 

식목일 공휴일로 부활 후 국가기념일로 지정

그러다가 1961년에 식목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어 식목일이 공휴일로 부활하였고, 1982년에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였다.

반응형

국가기념일은 그대로 공휴일에선 제외

1990년에는 일부에서 식목일을 공휴일에서 제외하자고 강력하게 제기하기도 했지만, 청명과 한식이 겹치는 날이라 하여 그대로 두기로 하였다. 하지만 식목일을 공휴일에서 제외하자는 의견이 다시 대두되었고, 정부가 이를 받아들여 2005년부터 식목일은 국가기념일이라는 위상은 그대로 유지하지만 공휴일에서는 제외되었다.

TMI 세계 최초의 식목 행사(식목일 행사 시초)
미국 네브래스카주에서 이루어졌는데, 산림이 헐벗은 것을 본 개척민이 산림녹화운동을 전개하자 이에 많은 사람들이 호응해 1872년 4월 10일, 모턴이 주창해 제1회 식목행사를 실시하면서부터이다.

이후 네브래스카주에서는 모턴의 생일인 3월 22일을 [나무의 날]이라 하여 이 날을 주의 축제일로 정했는데, 이 나무 심기 행사가 미국 전역 및 세계 각국으로 퍼져나간 것이다.

기념일로 알아가는 상식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1960년대 우리나라 산 [출처 : 산림청]

치산녹화 10년 계획

 

계획 실행 이유

정부는 정부수립 이후 산림보호와 조림 등 산립정책을 두고 시행해 왔으나 별다른 효과를 가져오지 못함에 따라 1973년에는 정부조직법을 개정하여 농림부 산하의 외청으로 있었던 산림청을 내무부로 이관하고 과거 여러 가지 계획을 종합 검토하여 새롭게 세운 산림정책으로 제1차 치산녹화 계획(1973~1978)을 수립, 추진하게 되었다.

계획 목표

이 계획은 1982년까지 모든 산야의 완전녹화라는 목표 이래 온 국민이 각자의 마을과 직장, 기관과 단체를 통하여 나무를 심고 가꾸도록 하였다.

728x90

계획 진행 과정

제1차 치산녹화 계획 성공

1975년부터 매년 3월 21일에서 4월 20일까지 한달 동안 춘기조림을 실행하는 범국민 식수기간을 정착시켰고, 산림의 보호차원에서 별채 및 무단입산을 행정적으로 강력하게 통제하였으며, 산불에방 및 진화를 위하여 모든 지역의 경찰공무원과 산림공무원이 분담하는 보호관리/보호단속/기줄지도의 삼위일체의 유기적 협력체제를 이룩하였다.

 

또한 강원도를 시작으로 전국의 화전정리산업을 마무리하였고, 농촌의 연료공급을 위한 대단위 연료림이 조성되었으며, 특히 1978년 당초 조림목표량 100만ha 많은 108만ha의 녹화사업을 초과 달성하여 계획기간을 4년 앞당기게 되었다. 하지만 적지적수 원칙 없는 조림지선정, 사방사업과 융자시책 등 일부 사업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 아쉬움이 남았다.

 

제2차 치산녹화 계획 성공

1979년부터 시작되었다.  제1차 계획이 속성수 위주의 조림과 사방녹화, 산림보호체제의 강화, 화전정리의 완결 등 치산녹화 기반확립에 기본 목표를 두었던 반면, 제2차 계획은 산림자원화를 지향한 항속림사상에 입각하여 산지이용 장기계획, 임목축적 강화계획, 장기 목재수급계획 등 장기적경제림 조성에 목표를 두고 합리적인 산림경영기반 구축에 역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제2차 계획기간 동안의 주요성과는 1982년 FAO가 평가한 것처럼 우리나라의 중점사업인 국토녹화사업은 성공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지만 1차 계획의 녹화정책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조림위주의 정책으로 일관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