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의/목적
훈민정음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이며, 매년 10월 9일이다.
TMI 훈민정음
세종대왕 25년 곧 서기 1443년에 완성하여 3년 동안의 시험 기간을 거쳐 세종 28년인 서기 1446년에 세상에 반포되었다.
1940년 안동에서 발견된 원본 [훈민정음]은 설명문이 모두 한문으로 되어 있다. 처음에 훈민정음 본문이 실려 이쏙, 다음에 훈민정음 해례는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로 다섯 가지 [해(풀이)와 한 가지 [예 (보기]로 되어 있다.
역사/유래
한글날의 시초(가갸날)
한글날을 처음 제정한 것은 우리가 일제강점기에 있던 1926년의 일이다. 조선어연구회 곧 오늘의 한글학회가 음력 9월 29일(양력으로11월 4일)을 가갸날이라 하고, 그날 서울 식도원에서 처음으로 기념식을 거행한 것이 시초이다.
당시는 우리가 일제에 국권을 빼앗기고 억압에 눌려서 위축되어 있던 때라 민족정신을 되살리고 북돋우기 위하여 한글날을 제정하여 기념하기로 했던 것이다.
TMI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정한 이유와 가갸날이라는 명칭을 쓴 이유
[세종실록]28년(1446) 9월조의 "이 달에 훈민정음이 이루어지다"라고 한 기록을 근거로 한 것이며, 이름을 가갸날이라 한 것은 그때 아직 한글이라는 말이 보편화하지 않았고, 한글을 '가갸거겨.... , 나냐너녀....'하는 식으로 배울 때였기 때문이다.
TMI 한글이라는 명칭
한글이라는 이름은 언문, 반절, 가갸글 등으로 불러 오던 훈민정음을 1910년대에 주시경을 중심으로 한 국어 연구가들이 으뜸가는 글, 하나 밖에 없는 글이라는 뜻으로 지어서 쓰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때까지만 해도 그 쓰임이 보편화되지 않았다.
가갸날을 한글날이라는 명칭으로 바꾸고, 음력에서 양력으로 바꾸다
가갸날을 한글날로 이름을 바꾼 해는 1928년이었다. 1931년에는 그동안 음력으로 기념해오던 한글날을 양력으로 고치기로 하고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하여 10월 29일을 한글날로 정했다.
그러나 이 환산 방법에 의문이 생겨 1446년의 음력 9월 29일을 당시에 우리나라에서 쓰던 그레고리력으로 다시 환산한 결과 10월 28일과 일치하여 이날을 한글날로 정하고 기념식을 가졌다.
1940년 경북 안동에서 [훈민정음] 원본이 발견되었는데, 서문에 "정통 11년 9월 상한"에 정인지가 썼다고 기록되어 있어 훈민정음, 곧 한글을 반포한 날이 좀더 확실하게 밝혀졌다. 그러나 이때는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어 여러 가지 통제가 심해떤 까닭에 기념을 할 사정이 못 되었다.
한글날 10월 9일로 정하다.
한글날을 양력 10월 9일로 확정한 것은 1945년 우리나라가 광복이 되서 나서였다. 곧 [정통 11년 9월 상한]의 [9월 상한]을 9월 상순의 끝날인 음력 9월 10일로 잡고 그것을 양력으로 환산한 10월 9일로 정한 것이다.
법정공휴일로 지정하다.
그리고 1946년에는 한글날을 법정공휴일로 지정하여 거국적인 기념 행사를 하였다. 특히 일제강점기의 한글날 기념 행사는 민조주의 국어학자를 비롯한 소수 유지들의 모임으로 이루어졌었는데, 이때에 이르러 비로소 한글날 행사가 전국적인 것이 되어 해마다 큰 기념식을 하였다.
1970년 대통령령으로 공포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서 관공서의 공식 공휴일이 되었다.
법정공휴일에서 제외되다.
1990년에 휴일이 많은 것은 산업 발전에 장애가 된다는 경제 단체의 문제제기가 있어 법정공휴일 축소 문제가 논의되었고, 그해 8월에 국무회의에서 한글날을 국군의 날과 더불어 법정공휴일에서 제외하기로 의결, 한글날은 단순한 기념일이 되었다.
그러나 한글 관련 단체의 꾸준한 한글 국경일 제정 운동의 결과로 2005년 12월 29일에 국회에서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2006년부터 한글날이 국경일로 정해졌다.
TMI 기념일 행사
한글날 기념 행사는 광복 이전부터 한글학회가 주관해오다가 1957년부터 한글학회와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공동으로 주관하게 되었고, 1981년에는 서울시, 1982년부터는 문화공고부(현재 문화관광부)에서 맡아서 오늘에 이르렀다.
이날은 정부 주관으로 삼부의 요인, 한글학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기타 문화단체의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식을 하고, 국어의 연구와 발전, 해외보급에 공로가 있는 이들에게 훈포장을 주고 표창을 하는 한편, 한글을 기리는 문화공연, 전시회 같은 행사를 한다.
이와 별도로 민간 한글 관련 단체가 세종대왕 동상에 꽃바치기, 국어학 학술대회 같은 행사를 한다.
TMI 한글이란?
한글은 조선전기 제4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반포한 우리나라 고유의 문자이다. 어려운 한자를 빌려 문자로 사용할 경우 민족의 정서는 물론이고 정확한 정보 기록과 소통 자체가 불가능하다.
또 일반 민중은 말 이외에 의사를 기록하고 전달할 방법이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한글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한글은 발성기관의 모양을 본뜬 자음과, 천지인의 모양을 본뜬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학적인 음문학 연구를 토대로 누구나 습득할 수 있도록 만든 문자로, 세계역사에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독창적인 문자이다.
한글이 만들어진 계기
세종은 일반 민중이 글자 없이 생활하면서 자신의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음을 마음 아프게 여겼다. 그들 민중은 관청에 호소하려 해도 호소할 길이 없었고, 억울한 재판을 받아도 바로잡아 주지를 요구할 도리가 없었으며, 편지를 쓰려고 해도 그 어려운 한문을 배울 수가 없었다. 또한, 농사일에 관한 간단한 기록도 할 방법이 없었다.
세종은 백성들의 이러한 딱한 사정을 매우 안타깝게 여겼던 성군으로, 주체정 강한 혁신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한문은 남의 글이므로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적더라도 매우 어색하여 뜻을 제대로 전할 수가 없었다.
그 밖의 다른 나라 글자들은 도저히 빌려 쓸 만한 것이 못된다고 생각하였다. 한편 당시의 상황은 새 글자를 만들어 낼 만한 여러 가지 조건이 갖추어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당시 새 글자를 만들어 낼 만한 조건
첫째, 고려 말기 몽고엑게 당한 곤욕으로, 그리고 원나라와 명나라의 갈음 시기에 즈음하여, 나라 안에서는 자아 의식이 강해지기 시작하였다.
둘째, 주위의 민족들은 저마다 자기 나라의 글자를 가지고 있었으나 우리는 한자를 빌려 썼는데, 그것으로 우리말을 적는 것은 여간 어색한 일이 아니었다.
정인지의 표현을 빌리면, 한자로 우리말을 표기하는 방법이었던 이두글은 "막혁 잘 통하지 않고, 비단 품위가 없고 체계가 없어 상고할 길이 없을 뿐 아니라 말을 적는 데 있어서는 만에 하나도 제대로 전달하지를 못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일반 백성의 글자 생활은 극도로 빈곤 상태에 있었다.
셋째, 세종의 개인적인 역량은 새 글자를 만드는 데 크게 작용하였다. 왕은 학문을 좋아하여 성군으로서의 도리를 깊이 체득하였고, 외국 세력에 대하여 우리를 지키려는 주체성이 강했으며, 백성을 위한 정치를 하려는 민본 정신이 투철했던데다 혁신적인 정책을 수행해 나가는 과감한 성격을 겸비하고 있었다.
넷째, 집현전에는 세종의 이러한 정책을 도울 만한 많은 학자들이 모여 있었다.
다섯째, 중국과의 외교 관계를 원만히 이루어 나가기 위해서는 중국말의 통역을 길러야 했는데, 그들을 과학적으로 교육 시키기 위해서는 중국말의 소리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따라 중국 운학을 연구하게 되었는데, 이 운학의 체계는 새 글자를 만들어 내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결론
이러한 상황에서 1443년(세종25) 음력 12월 세종은 [훈민정음]이라는 새 글자를 만들어 냈는데(세종실록과 훈민정음 해례의 끝에 실린 정인지의 꼬리글에 따름), 이러한 독창적인 글자를 만든 일은 세계 역사에 일찍이 찾아볼 수 없었다.
'기념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건강이 점점 나빠지는 이유는 산업의 발달과 기계문명의 보급이다?!" (0) | 2024.05.14 |
---|---|
"저출산 시대를 극복하는 날 " 임산부의 날 (0) | 2024.05.14 |
사실 어버이날이 재향 군인의 날이였다?! (0) | 2024.04.19 |
하얼빈 장첸이 싫어하는 기념일 (1) | 2024.04.19 |
개천절은 사실 단군 조선(고조선) 건국일을 기념하는 날이 아니다?! (2) | 2024.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