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념일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만들어진 기념일

by 고효길 2024. 5. 29.
반응형

의의/목적

대한제국칙령 제41호를 기념하고, 일본의 영유권 야욕으로부터 독도 수호 의지 표명 및 대내외적으로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천명하기 위하여 제정한 날이며, 매년 10월 25일이다.

 

역사/유래

기념일이 제정된 배경

1900년 10월 25일 고종황제가 대한제국칙령 제41호에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명시하였다.

 

기념일 시초

2000년 민간단체인 독도수호대가 독도의 날을 지정하고 2005년부터 국가기념일 제정을 위하여 서명운동을 시작하였다.

TMI
경상북도 의회는 2005년 6월 9일 독도의 달 조레안을 가결하여 매년 10월을 독도의 달로 정하였다.

그리고 2012년 10월 28일 당시 국토해양부는 국가지명위원회를 통해 공식적으로 동도의 봉우리를 우산봉으로, 서도의 봉우리를 대한봉이라 명명하였고, 바위로 분류되던 것은 탕건봉으로 재분류해 독도는 3개의 봉우리를 가진 섬이 되었다.

 

국가기념일로 제정

이후 2008년 8월 27일 [독도의 날 제정을 위한 법안]이 국회에 제출되었고, 2010년 한국교원단체총연하회(한국교총)이 16개 시/도 교총, 우리역사교육연구회, 한국청소년연맹, 독도학회와의 공동 주최로 경술국치 100주년을 맞아 전국 단위의 독도의  날을 선포하였다.

반응형

독도란?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한 독도는 대한민국 정부 소유의 국유지로서 198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동도와 서도 외에 89개의 부속도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울릉도에서는 맑은 날 독도를 볼 수 있을 정도로 비교적 가까워서 삼국시대부터 울릉도에 부속된 섬으로 인식되고 이용되어 왔다.

 

- 면적 : 총면적 187,554㎡ / 동도 73,297㎡ / 서도88,740㎡ / 부속도서 25,517㎡

- 주소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 ~ 96(분번 포함 101필지)

- 좌표/위치 : 동도 삼각점 기준으로 북위 37도 14분 22초 /동경 131도 52분 08초/ 울릉도의 동남향 87.4km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TMI
독도는 500톤급의 접안시설과 등대, 독도경비대의 숙소, 헬기장 등이 있다.

최고봉이 98.6m로 북쪽에 2개의 화산흔적이 있다.

해안은 30 ~ 40m의 단애를 이루고 경사가 급해 식생 피복이 불량하다.

정상부의 평평한 곳에는 부분적으로 20~30cm 두께의 토양이 형성되어 있다.

TMI 서도
서도는 최고위점 기준으로 북위 37도 14분 30.6초, 동경 131도 51분 54.6초에 자리한다. 시설물로는 어민대피시설, 발전기, 기상측정기 등이 있다. 최고봉은168.5m로 독도의 여러 섬들 가운데 가장 높고, 가장 넓다.

경사가 가파른 하나의 봉우로 되어있고, 해안 단애에는 많은 동굴이 있다. 북서쪽 해안의 물골이라 불리는 바위틈에서 조금씩 떨어지는 물이 독도에서의 생활에 귀중한 수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동/서도간 최단거리는 약 151m이다.
독도 관련 주요 연표
512년
(신라 지증왕 13)
우산국이 신라에 귀속
1417년
(조선 태종 17)
왜구 출현으로 주민 쇄환정책 실시
1454년
(단종 2)
[세종실록](지리지)에 울릉도/독도 내용 수록
1694년
(숙종 20)
장한상이 울릉도를 순찰하며 독도 위치 설명
1697년
(숙종 23)
2~3년 간격으로 울릉도 수토 시작
1882년
(고종 19)
개척령 반포와 함께 주민 이주정책 실시
1900년
(광무 4)
강원도 울도군 설치(칙령 41호, 부속도서 울릉도, 죽도, 석도(독도)를 관할)
1952년 평화선 설정으로 독도를 대한민국 영토로 전 세계에 선언
1953년 독도의용수비대 조직-독도 경비
1956년 울릉경찰서 독도경비대에 인계
1981년 독도 두민등록 최초 전입(최종덕, 울릉도 도동리 산69)
1982년 국가지정 문화재 천연기념물 [독도해조류번식지]로 지정
1999년 국가지정문화재관리단체 지정 및 천연기념물 독도관리지침 고시 문화재명칭 변경(독도해조류번식지 > 독도천연보호구역)
2000년 4월 7일 행정구역 명칭 및 지번 변경(행정구역: 당초 도동리 > 독도리로 변경, 지번: 당초 도동리 산42~76번지 > 독도리 산1~37번지로 변경)
2005년 3월 독도관리기준안(기준 독도관리지침 폐지 및 독도(동도) 개방
2005년 6월 28일  정부합동 독도현황고시
2005년 9월 지번변경(당초 산1~37번지 > 1~96번지로 변경)
반응형

독도 수산업

독도의 근해는 북한한류와 동한난류가 교차하는 조경수역으로 플랑크톤이 풍부해 매우 훌륭한 어장이 된다.

 

회유성 어족인 연어, 송어, 대구를 비롯해 명태 ,꽁치, 오징어, 상어가 주종을 이룬다.

 

예전에는 강치(물개)가 많아 어부들에게 인기가 있었으나, 지금은 포획금지 대상이다.

 

또한 해저암초에는 다시마, 미역, 해삼, 문어, 소라, 전복, 김 등의 해조류들이 풍성해 어민들의 주요 수입원이 되고 있다.

 

동해안의 특성상 독도도 양식업보다는 일반 해면어업의 비중이 높고, 현행법상 공동어로작업의 주체인 어촌계가 독도어장에 관한 공동관리와 운영을 하고 있다.

 

주요 어장은 독도 마을어장과 대화퇴어장이 있다. 독도 북쪽의 원해에 있는 넓은 어장인 대화퇴어장도 역시 조경수역이 형성되는 곳으로 회유성 어족 특히, 오징어가 많이 서식한다.

 

독도의 연안어장과 대화퇴어장에서의 어획량이 우리나라 수산물 사장의 수급 가격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독도는 이러한 동해상의 어업 전지기지로서의 역할을 한다.

 

계절별로 겨울/봄(초봄)에는 명태어장이 형성되고, 여름/가을에는 오징어 어장이 형성된다. 오징어의 주어기는 9월~1월이다.

 

독도 주변의 어민들은 그들만의 공간을 인지하는 방향인식법이 잇고, 어장을 [걸] 또는 [짬]이라 부르는 등 독특한 문화를 공유한다.

TMI 독도의 다른 자원
독도는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천혜의 절경을 자랑하며 관광자원이 풍부한 곳이다. 주상절리와 같은 화산지형을 볼 수 있으며, 다양한 해양지형이 발달되어 있어 독특한 자연경관을 뽐낸다.

풍부한 생물상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슴새, 바다제비, 괭이갈매기 등이 군집하여 집단적으로 번식하고 있다.

울릉도에서 독도 서북쪽에 이르는 일대의 울릉분지에는 하이드레이트가 대량 매장되어 있다. [하이드레이트]란 메탄이 주성분인 천연가스가 얼음처럼 고체화된 상태이다.

기존 천연가스의 매장량보다 수십배 많고, 석유가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시자원이다. 현재 하이드레이트는 개발기술이 초보단계로 러시아를 제외하고 상업적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독도 북쪽의 한국대지 사면에서는 인산염암이 발견되었다.

함량이 30%나 되고, 우라늄광보다 30배나 많은 우라늄(120ppm)과 바나듐(17~300ppm)을 얻을 수 있어 경제적 가치가 충분하다.

 

여담

울릉군에 따르면, 독도에는 현재 52명이 거주하고 있다.

 

처음으로 주민등록을 이주하여 거주하던 사람은 최종덕으로 1965년부터 1987년 사망할 때까지 거주했다.

 

현재는 김성도/김신열 부부가 1991년 11월 17일부터 서도에 거주하며 어로활동에 종사하고 있다.

 

실제 거주하지는 않지만 호적상 등재된 가구  및 인원은 149가구에 531명이 있다.

 

독도 지킴이로 활동하던 김성도는 2018년 10월 21일 지병으로 별세하였다. 또한 독도경비대와 등대원이 독도에 상주한다.

 

1956년 울릉경찰서 경찰관이 입도하였고, 96년 해상경비와 독도경비대 보강차원에서 울릉경찰서 소속 독도경비대와 울릉도 경비를 전담하는 318 전경대를 통합하여 울릉경비대 예하에 독도경비대를 두고 경북지방경찰청장 책임 하에 1개 소대가 운용되고 있다.

 

등대원은 포항지방해양수산청 소속으로 3명 근무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