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M 11 뉴알상] 뉴스로 알아가는 상식 2024.04.19 '하늘의 암살자' MQ-9 리퍼 첫 공개 [르포]‘하늘의 암살자’ MQ-9 리퍼 첫 공개… F-35B와 군산기지서 복합작전 한미 연합 편대군종합훈련에 첫 참가…군용기 100여대 동원 19일 공군 군산기지 활주로에 들어서자 각종 계측 장비와 연결돼 출격 전 점검을 하는 미 공군의 무인공격기 MQ-9 리퍼가 취재진에게 n.news.naver.com 요약 ⓐ 2024년 4월 19일 공군 군산기지 활주로에서 미 공군의 무인공격기 MQ-9 리퍼 공개. ⓑ 수시로 핵/미사일 도발 위협을 가하는 북한에 대한 경고를 위한 목적이라 분석하였다. ⓒ 공군 군산기지에서 하는 훈련은 KFT 훈련이며 4월 12일부터 시작했고, 한미 공군의 군용기 100여대와 장병 1천 400여명이 참여하였고, 전시를 가정해 공대공 및 공대지,.. 2024. 4. 20.
"사실 부처님 탄신일은 음력 2월 8일이다?!" 음력 4월 8일 부처님 오신 날 feat. 부처님 기념일 내용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날짜 음력 4월 8일이다. TMI 음력 4월 8일인 이유는? 부처는 BC 624년 4월 8일(음력) 해뜰 무렵 북인도 카필라 왕국(지금의 네팔 지방)의 왕슈도다나와 마야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경과 노에 부처가 태어난 날을 2월 8일 또는 4월 8일로 적고 있으나, 자월(지금의 음력 11월)을 정월로 치던 때의 4월 8일은 곧 인월(지금의 정월)을 정월로 치는 2월 8일이므로 원래는 음력 2월 8일이 맞다. 그러나 불교의 종주국인 인도 등지에서는 예로부터 음력 4월 8일을 부처의 탄일로 기념하여 왔고, 한국에서도 음력 4월 초파일을 탄신일로 보고 기념하고 있다. 의의/목적 부처의 탄생을 기념하는 날이다. TMI 부처님 오신 날의 다른 명칭 석탄일, 욕불일, 사월.. 2024. 2. 4.
"우리나라 군사정권이 꼭 챙겼던 기념일"4월 28일 충무공 탄신일 feat. 이순신 기념일 내용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날짜 매년 4월 28일이다. TMI 음력 3월 8일 기준으로 할 경우 매년 기념일이 달라지기 때문에 양력으로 환산하여 정하였으며,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기념일로 지정되어 있다. 의의/목적 1545년 4월 28일 태어난 충무공 이순신의 탄신을 기념해서 충무공의 애국과 충의를 전승하고 민족자주정신을 선양하기 위해 제정한 날. 역사/유래 기념일 시초 (조선시대) 이순신을 기리는 행사는 그가 죽은 직후부터 시작되었다. 선조는 삼군수군통제사영이 있는 통영에 사당을 세워 그를 제사하도록 했는데, 이는 전례가 없는 최고의 예우였다. TMI 이처럼 신위를 사당에 모셔놓고 해마다 제사를 받들던 날과 오늘날의 기념일과는 그 위상과 의미가 조금 다르지만, 그에 버금가는.. 2024. 1. 19.
"노동절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념일" 4월 25일 법의 날 feat. 경국대전 기념일 내용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날짜 매년 4월 25일이다. 의의/목적 국민의 준법정신을 앙양하고 법의 존엄성을 진작하기 위하여 법무부에서 주관하는 국가기념일이다. 앙양하다 : 정신이나 사기 따위를 드높이고 북돋우다. 역사/유래 법의 날 시초 1957년 미국 변호사협회장 찰스 라인의 제창으로 1958년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사회주의 국가의 [노동절]에 대항하는 의미로 5월 1일을 법의 날로 제정, 시행해 오고 있다. 국제적으로 1963년 7월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법의 지배를 통한 세계평화대회]에서 세계 각국에 [법의 날] 제정을 권고하기로 결의하였다. 한국 법의 날 시초 우리나라도 이에 따라 대한변호사협회 주도로 1964년 4월 22일, 법의 날 제정을 위해 모인 법률학 관련 회의에서 [법.. 2024. 1. 18.
"우편으로 시작된 정보통신"4월 22일 정보통신의 날 feat. 정보통신의 역사 기념일 내용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날짜 매년 4월 22일이다. 의의/목적 정보통신의 중요성과 의의를 높이고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을 다짐하며, 관계 종사원들의 노고를 위로할 목적으로 제정한 날이다. 역사/유래 정보통신의 날 시초가 되는 우정총국 조선 후기인 1884년(고종 21) 4월 22일, 국내 최초의 통신업무 주무기관인 우정총국이 설립되었다. TMI 우정총국 설립 당시 홍영식 등 12명의 시찰단이 4개월간 일본에 머물면서 새로운 제도와 시설을 시찰한 뒤 돌아와서 고종에게 국정개혁의 하나로 신식우편제도의 도입을 건의한 결과, 고종은 이 건의를 받아들여 1884년 4월 22일 왕의 칙명으로 우정총국을 개설하고 홍영식을 우정총판으로 임명했다. 고종은 "각국과 통상한 이래 내외의 간섭이 날로 증가하고.. 2024. 1. 17.
"과학의 날은 사실 찰스 로버트 다윈의 기일이다?!"4월 21일 과학의 날 feat. 김용관 기념일 내용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날짜 매년 4월 21일 의의/목적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모든 국민생활의 과학화를 촉진하기 위해 제정한 날. 역사/유래 과학의 날 시초 한국 최초의 과학의 날은 일제강점기인 1934년 4월 19일로, 과학의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일깨워 주기 위해 당시 세계 최고의 과학자로 여기던 찰스 로버트 다윈이 죽은 지 50주년이 되는 해를 기념하여 제1회 [과학데이]로 삼아 행사를 벌였다. 일제강점기로 인해 기념일 중단 그러나 일제의 탄압으로 이 행사의 지도자인 김용관이 투옥됨으로써 더 이상 행사를 지속하지 못했다. 본격적인 기념일 1967년 4월 21일 과학기술처 발족 날짜를 기념하여 1968년 4월 21일을 제1회 과학의 날로 정했다. TMI 한국의 과학 1960.. 2024. 1. 16.
"88올림픽 이후로 바뀐 장애인 명칭" 4월 20일 장애인의 날 feat. 배리어 프리, 장애인 차별금지법 기념일 내용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날짜 매년 4월 20일이다. 의의/목적 장애인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깊게 하고, 장애인의 재활 의욕을 높이기 위해 제정한 날. TMI 장애인의 날을 기념일로 만든 계기 국제연합(UN)이 1981년을 [세계 장애인의 해]로 제정, 시행함으로써 우리나라에도 장애인복지 관련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두되어 법적으로 이날을 기념일로 만들었다. 또 UN은 92년부터 매년 12월 3일을 세계장애인의 날로 지키고 있어, 우리나에서도 이날을 세계 장애인의 날로 지킨다. 역사/유래 장애인의 날 시초 1970년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이사회와 총회에서는 4월 20일을 장애인의 날로 지킬 것을 의결하고, 1971년 4월 20일부터 해마다 이날을 장애인의 날로 지킨 것이다. TMI 기념일 .. 2024. 1. 15.
"세월호 참사로 탄생한 기념일" [4월 16일 국민 안전의 날] feat. 세월호 참사 기념일 내용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날짜 매년 4월 16일이다. 의의/목적 2014년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안전의 중요성을 되새기자는 의미로 2015년 제정된 날이다. TMI 기념일 행사 행정안전부는 2015년부터 매년 국무총리 주재로 각 부처 장관과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민간단체, 일반 시민 등이 참여하는 [국민안전 다짐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국민안전 다짐대회에서는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정부 대책 등을 알리는 한편,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안전정책 세미나와 안전 문화 확산을 위한 캠페인, 공모전 전시회 등 다양한 국민 참여 행사가 열린다. 역사/유래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해 제정된 국가기념일로, 2014년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의 중요성을.. 2024. 1. 13.
"가을이 독서의 계절이면 봄은 도서관의 계절이다" [4월 12일 도서관의 날] feat. 도서관 명소/데이트 장소 기념일 내용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날짜 매년 4월 12일이다. 의의/목적 책을 통해 지식과 문화의 자유로운 접근과 공동체 연대의 새싹을 피워내고 국민적 관심과 화합을 이루어 도서관의 사회/문화적 가치 확산과 이용 촉진을 기념하기 위해 지정된 날이다. TMI 도서관법 도서관 지식정보에 관한 국민의 알 권리 보장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등을 정하고 도서관의 운영과 서비스, 사회적 역할에 관한 기본적 사항을 규정한 법이다. 의의/목적 이 법은 도서관이 국민의 정보기본권 신장과 사회의 문화발전에 기여하여 지식문화 선진국을 창조하는 데 중요한 기반시설 중의 하나임을 인식하고, 도서관의 가치가 사회전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그 역할을 다하며, 국민의 자유롭고 평등한 접근과 이용.. 2024. 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