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학사 2단계

독학사 2단계 심리학과 이상심리학 [조현병(정신분열증)]

by 고효길 2024. 2. 18.
반응형

제1절 임상적 특징과 하위유형

DSM-5의 주요진단기준

ⓐ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심하게 와해된 행동 또는 긴장증적, 음성증상들 중 2가지 이상이 1개월의 기간 동안 상당 부분의 시간 동안 나타남(2가지 중 하나는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이어야 함)

 

ⓑ 상당 부분의 시간 동안 직업, 대인관계 혹은 자기관리와 같은 주요영역 중 한 가지 이상에서 기능 수준이 장애 이전 성취된 수준보다 현저히 저하

 

ⓒ 장애의 징후가 최소 6개월 동안 지속

 

ⓓ 조현(분열)정동장애와 정신증적 특성을 가진 우울 또는 양극성 장애는 배제

DSM-5
미국 정신의학회(APA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에서 출판하는 서적으로, 정신질환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서적이다. 정신질환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정리하여, 각종 정신질환의 정의 및 증상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들을 제시한다.

여담
비슷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책으로는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행하는 국제질병분류(ICD)가 있다. DSM은 정신질환에 집중하는 반면 ICD는 모든 종류의 질병을 다룬다. 정신과학, 심리학, 특수교육 등에서 자주 듣게 되는 이름이다.

DSM-5 기준 정신질환 분류
섭식장애(Eating Disorders)

신경발달장애(Neurodevelopmentai Disorders)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의사소통장애(Communication Disorder)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특정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orders)

운동장애(Movement Disorders)

기타 신경발달장애(Neurodevelopmenral Disorders)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감정장애(Mood Disorders)

양극성 및 관련 장애(Bipolar Disorders)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

불안장애(Anxiety Disorders)

강박 및 관련 장애(Obesessive Compulsive Disorder)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해리장애(Dissociative Disorders)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Somatic Symptom Disorder)

배설장애(Elimination Disorders)

수면-각성장애(Sleep - Wake Disorders)

호흡관련 수면장애(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

일주기리듬 수면 - 각성장애(Circadian Rhythem Sleep Disorders)
반응형

양성증상

양상 : 정상적/적응적 기능의 과잉 또는 왜곡

 

종류 : 망상, 환각, 환청, 와해된 언어나 행동, 긴장성 운동행동 등

 

음성증상

양상 : 정상적/적응적 기능의 결여

 

종류 : 감정의 준화(정서적 둔마), 무논리증 또는 언어의 빈곤(무언어증), 사회적 철수(무욕증), 대인 관계의 무관심 등

 

조현병(정신분열증)의 하위유형(DSM-IV기준) : 망상형 또는 편집형(Paranoid Type), 해체형 또는 혼란형(Disorganized Type), 긴장형(Catatonic Type), 감별불능형 또는 미분화형(Undifferentiated Type), 잔류형(Residual Type)

반응형

제2절 기타 정신증적 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 조현병의 주요 증상 중 한 가지 이상이 하루 이상 1개월 이내

 

조현(정신분열)양상장애 : 조현병과 종일한 임상적 증상, 지속기간이 1개월 이상 6개월 이하

 

조현(분열)정동장애 : 조현병의 증상과 동시에 기분삽화(주요우울 또는 조종삽화)가 일정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망상장애 : 한 가지 이상의 망상이 최소 1개월 이상 지속

정동 장애
과장된 정동 반응들이 주된 특징으로 나타나는 장애 집단. 우울, 의기양양함, 또는 이 둘 사이를 오가는 변화가 이 장애의 임상적 특징이다. 이 진단 범주의 증상은 의기양양함이 더 많이 나타나는 상태(조증, 경조증 그리고 조울 장애의 조증 상태)를 제외하면 사실상 우울 장애와 같다. 불안 정동이 뚜렷한 증상은 따로 논의될 것이지만, 불안은 정신 질환에는 어디에나 존재하므로 여기에 언급된 것들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명백하게 존재한다.

망상장애
쉽게 변경되지 않는 잘못된 믿음이 망상이 주된 증상인 정신과적 질환이다. 망상은 한 가지만 있을 수도 있고, 여러 개의 망상이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다. 망상은 체계적이며, 일반적으로 망상이 기괴하거나 특이하지 않다. 망상의 성격에 따라 기분에 변화가 있을 수도 있으며, 조현병에서 보이는 환청, 환시 등의 환각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 망상 외에는 사고 과정에서 장애를 보이지 않으며, 다른 정신과적 질환들에 비해서는 사회적 및 직업적 기능이 상대적으로 유지된다.
반응형

제3절 조현병(정신분열증)의 원인과 치료

원인

생물학적 요인 : 유전적 요인, 뇌의 구조적 혹은 기능적 결함, 신경전달물질의 이상

 

심리적 요인 : 심리적 혼란, 인지적 기능의 결함, 작업기억의 손상 등

 

정신분석적 입장 : 갈등모델, 결손모델, 자아경계의 붕괴, 대상관계이론

 

가족관계 및 사회/환경적 요인

 

치료 :입원치료 및 약물치료, 심리치료, 행동치료, 사회기술훈련, 자기지시훈련, 집단치료 및 가족치료 등

신경전달물질
화학적 시냅스에서 신경세포 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분자이다.

신경전달물질은 시냅스전 신경세포에서 합성되어 축삭 말단에서 방출되며, 방출된 신경전달물질은 시냅스후 세포(신경세포, 근육, 분비세포 등)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와 결합하여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새로운 신호를 발생시킨다.

신경전달물질의 종류
① 아미노산
글루탐산
글리신
감마아미노부틸산

② 아민
아세틸콜린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세로토닌
에피네프린
히스타민

③ 펩타이드
물질 P
신경펩타이트 Y
소마토스타틴
다이놀핀
엔돌핀
콜레시스토키닌

갈등모델
투쟁이나 갈등의 사회적 편재성에 주목하여 사회과정을 설명하려는 이론. 투쟁모델 또는 분쟁모델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생각은 고대 헤라클레이토스와 폴리비오스에서 비롯되었으며, 근대에와서는 홉스, D.흄, 헤겔 마르크스 사회다윈주의(사회진화), 지멜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자아경계
패던 P.Federn이 정신질환의 연구중에 사용된 개념으로, 자아는 제기능의 총체는 아니고, 지속적인 심적 체험이라고 하고, 자아경계는 이 자아의 영역이 모친 등을 포함한 내/외의 비자기에 대치하는 경계로 둘러싸인 영역이라고 했다. 

아몬 G. Ammon은 이 개념을 모친과 유아의 공생관게의 이해에 사용하며, 유아의 미분화된 신체적표현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 속에 표현되어 있는 욕구와 감정에 모친이 적절히 응하지 못할 때에, 자아경계의 원형인 신체자아나 동일성의 장해를 가져온다고 설명하고 있다.

대상관계 이론
주체-리비도 투여 대상 또는 어머니-유아의 상호관계처럼 주체가 독립된 상태로 존재하지 않고, 세계에 의존하거나 관계맺을 수밖에 없는 방식에 대한 현대 정신분석학 이론을 말한다.

인간 주체를 독립된 개인이 아니라 외부 대상 또는 타자외의 상호작용 속에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하는 일체의 정신분석학 이론이다. 이는 주체가 자신의 대상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반대로 대상이 주체를 형성하고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포괄적이고 상호적인 개념이며, 이런 의미에서 자아심리학과 구별된다. 즉 원자적인 형태의 자아가 아니라 자아-대상의 상호관계(상호주체성)와 이를 통한 정신의 형성에 초점을 둔다.

 

반응형